앵커: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27일, 역사적인 만남을 가졌습니다. 11년 만에 만난 남북의 두 정상은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손을 맞잡았으며, 김 위원장이 몇 가지 즉석 제안을 할만큼 화기애애한 분위기였습니다.
두 정상이 만난 역사적 순간을 노정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
[방송 ACT] 지금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. 김정은 위원장의 모습이 보이죠. 역사의 현장을 함께 보시겠습니다.
남북 두 정상이 11년 만에 손을 맞잡았습니다.
한반도 시간으로 27일 오전 9시 30분. 수행원들과 판문각을 내려온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군사분계선 남쪽에서 기다리고 있던 문재인 한국 대통령을 만나 악수를 나눕니다.
미소 띤 얼굴의 남북 정상은 군사분계선 위에서 손을 맞잡은 채 담소를 나누면서 김 위원장은 "자신을 마중 나온 문 대통령에게 감동했다"는 말을 전했고, 문 대통령은 대화에 나선 김 위원장의 결정에 찬사를 보냈습니다. 그리고 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 지역에서 기념촬영을 했습니다.
이때 김 위원장의 첫 번째 깜짝 제안.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에게 다시 군사분계선 북쪽으로 넘어가 사진촬영을 할 것을 제안했고 문 대통령이 이에 응하면서 현장에는 박수가 터져나왔습니다.
평화의 집에 도착한 김 위원장은 방명록에 "새로운 역사는 이제부터 평화의 시대, 역사의 출발점에서"라고 썼으며 곧이어 남북 정상은 북한산 그림을 배경으로 기념 촬영을 한 뒤 접견실로 이동해 담소를 나눴습니다.
두 정상이 2018cm 폭의 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마주 앉은 가운데 김 위원장은 "군사분계선이 사람이 넘기 힘든 높이도 아닌데 이 자리에 오기까지 11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"면서 "평화번영과 남북관계의 새로운 역사를 쓴다는 마음으로 여기까지 왔다"고 말했습니다. 또 "문재인 대통령과 허심탄회하고 솔직하게 필요한 이야기를 나누고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겠다"고 김 위원장은 덧붙였습니다.
[김정은 위원장] 허심탄회하고, 진지하게 솔직하게 문재인 대통령님과 좋은 이야기, 필요한 이야기를 하고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내겠다고 문재인 대통령님께 말씀드리고 기자분들에게도 말씀드립니다.
김 위원장의 말에 이어 문 대통령은 "전 세계의 눈과 귀가 판문점에 쏠린 만큼 두 사람의 어깨가 무겁다"라며 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을 넘는 순간 판문점은 분단의 상징이 아닌 평화의 상징이 됐다고 화답했습니다.
[문재인 대통령] 전 세계의 기대가 큰데 이 상황을 만들어 낸 김정은 위원장의 용단에 대해 다시 한 번 경의를 표하고 싶습니다. 대화도 통크게, 대화를 나누고 화기애애하게 나눠서 온 민족과 평화를 바라를 모든 사람들에게 큰 선물을 안겨줬으면 좋겠습니다.
두 정상의 만난 순간부터 담소를 나누기까지 현장에서는 박수와 웃음소리로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계속됐으며 김 위원장도 밝은 표정으로 만남을 주도해 정상회담 합의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.
남북 정상은 한반도 시간으로 10시 15분부터 정상회담에 들어갔습니다.
0:00 / 0:00